본문 바로가기
  • 우리나라 정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등 각종 지원사업 및 경영 정보
경영정보

[수출 초보] 쉽게 설명한 구매확인서 발급 방법 (수출신고필증 기준)

by 경영지도사 2023. 11. 3.

내수기업이나 수출 초보기업에는 구매확인서라는 것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지금부터 알기 쉽게 구매확인서를 발급하는 방법에 대해서 수출신고필증을 근거서류로 한 구매확인서 발급방법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공급사 : (제조사) : (주)락앤락  

수출사 : (주)락앤락에서 주방용기를 매입해서 미국에 수출하는 나 (It's me)

수입사 : 미국 한인마트인 H mart

 

 

구매확인서란 해외 수출을 위한 수출용 물품의 국내조달(원자재, 부품, 완제품)을 증명하는 문서이며,
수출하는 기업이 신청 발급 받아서 공급사에게 제공하는 서류입니다.


구매확인서를 제공하게 되면 공급사로부터 부가세가 없는 영세율로 상품을 매입할 수 있어 오퍼(견적) 시에 좋은 가격을 제공할 수 있으며, 공급사는 직접 수출은 하지 않았지만, 간접 수출실적을 잡을 수 있습니다.


수출사의 구매확인서 제공

구매확인서 신청 및 발급은 구매확인서 통합정보서비스 플랫폼인 유트레이드허브 utradeHub를 이용하시면 됩니다.

 

유트레이드 허브 구매확인서 통합정보 서비스

 

 

1. 회원가입

 

가입시 필수 조건만 잘 입력하시고 나머지 이용 결제 수수료 방법 등은 회원가입 후 로그인하시고 언제든지 수정할 수 있습니다. 회원가입 매뉴얼은 아래 첨부파일을 확인하시면 됩니다.

uTradeHub 회원가입 매뉴얼.pdf
0.87MB

회원가입 진행 시 중요한 부분은 구매확인서 발급 신청 위한 서비스 선택에서 무역포탈에 체크를 하셔야 합니다. 

서비스 선택 창

 

 

 

 

1-1. 회원가입 (서비스 상세입력)

 

이용료 납부방법은 처음에는 수출 건 수가 많지 않기 때문에 건별 납부에 체크 

KTNET 발급 구매확인서비스 사용에 체크  

구매확인서 신청 서비스 상세입력 창

 

 


2. 구매확인서 신청 하기

1) 회원가입 후 로그인

2) 팝업창에서 구매확인서 신청 바로가기 클릭

구매확인서 신청 바로가기 클릭

 

 

 

3) 구매확인서신청(신규/변경/취소) 에서 작성 버튼 클릭

 

4) 납부방법 선택

 - 납부방법은 즉시납부와 고지서납부로 나눠집니다. 상황에 따라 선택하시면 됩니다.

 - 즉시납부도 일납부와 월납부가 있습니다. 1건의 구매확인서를 처리하신다면 일납부가 편할 수 있습니다.

 - 고지서납부방법은 구매확인서 발급에 대해 향후 고지서로 전달받고 확인 후 납부하는 방식입니다.

 

 

5) 공급자정보 입력

· 찾기 클릭

공급자 정보 입력

 

·  거래처 관리

 - 거래처 추가/등록

거래처관리 추가/등록

 - 상품을 매입하는 기업의 정보를 추가 또는 등록합니다.

 - 구매확인서를 처음 이용하는 분들은 앞으로 공급사의 정보를 계속 이용해야 하니 할 때마다 입력하지 말고 거래처를 등록하여 편하게 계속 사용하시면 됩니다.

 

 

거래처 등록

사업자등록번호와 상호만 필수로 입력하면 되지만 관리차원에서 대표자명과 주소는 항상 필수로 입력해서 관리하고 있습니다.

 

 

 

6) 구매물품 목록

 · 구매물품 목록 등록/수정

구매물품 등록 및 수정

 

 

 

7) 구매물품 등록

 

필수 입력 외에 나머지는 선택해서 입력하시고 입력하지 않아도 상관없습니다.  아래 이미지는 필수입력사항만 따로 추출해서 만들어 봤습니다.

구매물품 필수 입력사항

1 번호*

물품을 등록할 때마다 자동 생성되니 따로 입력할 필요 없음

 

2 제품코드*

물품등록을 해놓으면 제품코드로 해당 물품을 찾을 수 있음 (최초 물품등록 시에는 빈칸으로)

 

3 HS코드*

공급받을 상품의 HS코드 10자리 입력란. 관세청에서 HS코드를 조회하거나 관세청 민원실로 전화해서 상담사와 직접 확인해 보는 것이 그나마 제일 정확합니다. (관세청 전화 125번)

 

4 품명*

공급사로부터 받은 견적서 혹은 거래명세서 상의 한글 상품명 입력

 

5 단가*

공급사로 부터 받은 견적서상의 단가(원화) 입력

이때 단가는 영세율 세금계산서 거래를 할 것임으로 부가세 10% 제외한 공급가액을 입력하면 됨 

(저는 이런 이유로 견적서 요청 시 부가세를 제외한 공급가액의 견적서와 거래명세서를 받습니다)

 

6 단위수량*

단위수량은 무조건 1로 입력, 단위는 낱개 단위를 표현하는 EA로 입력

 

7 수량*

공급사로부터 매입한 상품(=수출하고자 하는 수량)을 입력

 

8 금액*

5번 단가와 7번 수량을 입력하면 자동으로 합계가 산출, 실제 공급사로 부터 받은 견적서 금액과 일치하는지 확인

 

9 구매일자*

공급사에서 수출할 상품을 구매한 날짜 입력

 

구매일자 입력 시 해당 상품의 선적일 전으로 잡아야 하며, 구매와 동시에 영세율 세금계산서를 우선 받아도 됩니다.
또한 공급자로부터 영세율 세금계산서 발급을 약속했으나 공급사 측에서 구매확인서를 먼저 발급해 주면 영세율 세금계산서를 발행할 경우도 있는데 모두 문제가 없으며, 다만 회계마감기준 익월 10일까지임을 고려하여 구매 및 세금계산서 진행을 하면 됩니다.

 

 

 

8) 근거서류 등록/수정

 ·근거서류 등록/수정 클릭

근거서류는 이 번 글에서는 수출신고필증을 기준으로 말씀드리겠습니다.

 

수출신고필증은 수출자가 포워딩 업체와 소통하여 스케줄 확정 및 Commercial Invoice (인보이스)와 Packing List(패킹리스트)를 포워딩업체로 전달하면 받을 수 있습니다.

 

1. 근거서류번호는 포워딩 업체에서 받은 수출신고필증 상의  ⑤ 신고번호를 입력

수출신고필증 신고번호

 

2. 수출하고자 하는 상품들 중에 하나의 HS코드만 대표로 입력

 (저는 수출하고 있는 상품들을 등록했기 때문에 제품코드 찾기를 조회해서 상품을 선택하고 자동으로 입력하여 편리하게 사용하고 있습니다)

제품코드 입력

3. 금액입력 통화코드 선택

 대부분 수출은 달러 결제이기 때문에 미국(USD)으로 선택, 실제로 수출하는 금액을 미국 달러금액으로 입력

 

4. 선적기일

 포워딩업체와 스케줄 확정, 선적 예정일 등을 확인해서 입력

 

5. 관세청 선택 필수

 이 번 구매확인서 발급 진행 기준이 수출신고필증 기준이라 관세청으로 반드시 지정해야 합니다. (자동 지정되어 있음)

 

 

마지막으로 공급사로부터 매입한 상품에 대한 세금계산서 정보도 입력해야 모두 마무리되고 구매확인서를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구매확인서 발급일 기준으로 세금계산서를 미리 받았을 경우와 아직 세금계산서를 받지 못했을 경우에 따라 절차가 달라져서 세금계산서 입력 부분 및 구매확인서 발급 수수료 등은 다음 시간에 정리해서 알려 드리겠습니다.

 

다음에 포스팅할 세금계산서 정보 입력

지금까지 구매확인서 발급 방법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쉽게 작성한다고 했는데 내용이 많이 길어 보이네요!
하지만 한 번만 직접 진행해 보시면 다음부터는 쉽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수출초보 기업 여러분 파이팅입니다!

2023년 11월 6일 세금계산서 정보입력 방법 업데이트 했습니다.

 

[수출 초보] 구매확인서 세금계산서 정보 입력 방법 및 구매확인서 양식

지난번 구매확인 발급을 위한 신청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아래 내용에 자세하게 구매확인서 발급 방법에 대해 안내해 드렸으니 처음 블로그를 방문하시는 분들은 꼭 참고해 보세요. [

its4uu.tistory.com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