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우리나라 정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등 각종 지원사업 및 경영 정보
지원사업/금융지원

청년도약계좌: 정부지원 비과세적금 신청 조건 및 금리 완벽정리!

by 경영지도사 2024. 2. 10.

청년의 중장기 자산형성 지원을 위한 정책형 금융상품으로 정부기관인 금융위원회 산하 기타 공공기관인 서민금융진흥원에서 운용되는 비과세 적금 상품입니다. 19세부터 가입할 수 있는 청년도약계좌 적금의 자격조건과 구조를 파악해서 가장 합리적인 납입금을 찾을 수 있도록 가이드하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

목차 바로가기

     

    서민금융진흥원의 다양한 대출 및 보증지원 사업은 아래 링크를 클릭하시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서민금융진흥원 KINFA [기타공공기관] 소액대출, ESG경영, 채용공고

    많은 서민분들이 서민금융진흥원(KINFA)을 통해 소액 대출을 받고 있습니다. 서민금융진흥원은 정부(금융위원회)가 관리하는 공공기관입니다. 아래 서민금융진흥원의 설립목적과 주요 기능을 살

    its4uu.tistory.com

     

    청년도약계좌

    청년도약계좌는 년의 중장기 자산형성 지원을 위한 정책형 금융상품으로「서민금융법」 제2조 제5호 라목 및 「조세특례제한법」 제91조의 22(청년도약계좌에 대한 비과세)에 근거하여 23년 6월 15일 청년도약계좌 상품이 출시 되었습니다.

    근로 또는 사업 소득이 있는 만 19 ~ 34세 청년이 가입할 수 있는 적금 상품입니다. 

     

    1. 청년도약계좌 신청 조건

    가입 조건은 아래 4가지 항목을 모두 충족해야지 신청이 가능합니다.

    1) 나이

    계좌개설일(가입일) 기준 만 19세 ~ 34세 이하*
    *병역이행기간(최대 6년)은 연령 계산 시 빼고 계산

    2) 개인소득

    직전 과세기간의 총급여액이 7,500만 원 이하이며, 종합소득과세표준에 합산되는 종합소득금액이 6,300만 원 이하인 경우 (단, 육아휴직급여, 육아휴직수당 외에 비과세 소득만 있는 경우는 제외)


    ※ 직전 과세기간의 소득이 확정되지 않은 기간에 소득을 확인한 경우 전전 연도 소득으로 인정


    3) 가구소득

    가구원 수에 따른 기준 중위소득 180% 이하에 해당하는 자


    ※ 직전 과세기간의 소득이 확정되지 않은 기간에 소득을 확인한 경우 전전 연도 소득으로 인정
    가구원은 청년 본인과 본인의 주민등록표 등본상 배우자, 부모, 자녀, 형제·자매(미성년자)를 기준으로 판단

    • 2024년 중위소득 기준 (단위 : 월/원)
    가구원 수 1인가구 2인가구 3인가구 4인가구 5인가구 6인가구
    중위소득 180% 4,011,201 6,628,696 8,486,383 10,313,843 12,052,323 13,713,064
    중위소득 100% 2,228,445 3,682,609 4,714,657 5,729,913 6,695,735 7,618,369

     

    4) 제외 대상

    직전 3개년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 제외

     

    2. 청년도약계좌 요약

    상품명 청년도약계좌
    가입기간 60개월(5년만기)
    납입금액
    1천 원~ 70만 원 내 매월 자유롭게 납입
    금리
    취급기관 자율결정 (3년 고정, 2년 변동)

     

     

    3. 청년도약계좌 구조

    총 급여(연봉) 7,500만 원 이하인 19세~34세 사이 신청자가 매월 납입하는 납입금액(최소 1천 원~최대 70만 원)에 대한 5년 적금을 가압하면 만기 시에 은행이자에 추가로 정부기여금을 합산하여 인출할 수 있는 비과세 적금 상품입니다.

     

    아주 쉽게 설명하면 5년 만기 적금 상품에 이자소득에 대한 비과세 혜택과 더불어 정부가 지원금(기여금)까지 주는 일반 은행권에서는 볼 수 없는 상품입니다.

     

    · 이론상 최대 조건으로 살펴보는 청년도약계좌 구조 

    청년도약계좌 구조

     

    청년도약계좌

    납입자:

    연봉 2,400만 원 이하의 근로소득이 있는 청년이 매월 70만 원을 5년(60개월) 동안 납입할 경우 납입자가 납입하는 금액은 총 4,200만 원입니다.

     

    청년도약계좌

    은행이자:

    최대 6%(기본+우대금리) 단리로 계산되어 약 640만 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은행마다 기본 금리와 우대 금리 조건 등이 다르니 아래에 상세히 내용을 담아보기로 하겠습니다.

    만약 이자소득에 대한 과세가 이루어진다면 계산된 이자수익 640만 원에서 이자과세 15.4%인 986,370원을 세금으로 내야 합니다. 이자소득에 대한 비과세는 큰 혜택입니다. 

    적금이자 계산기는 아래 서민금융진흥원에서 제공하는 적금 예금 이자 계산 페이지에서 조회 가능합니다.

     

    서민금융진흥원 적금,예금 이자 계산기

    서민금융상품 쳥넌도약계좌 적금, 예금 이자 계산기

    www.kinfa.or.kr

     

    청년도약계좌

    정부기여금:

    근로 및 사업소득에 구간에 따라 한도 및 매칭 기여비율이 달라지지만 우선 위 예를 보면서 정부기여금을 144만 원의 출처를 알아보겠습니다.

    월 한도 40만 원이라는 것은 납입자 본인이 납입하는 납입금이 40만 원을 초과하더라도 40만원 한도에서만 기여금을 지원하겠다는 말입니다. 

    즉, 위 사례를 보면 매월 70만 원을 납입했지만 70만 원 전액을 적용해서 지원금(기여금)을 지원해 주는 것이 아니라 최대한도 40만 원 기준으로 정부 기여금 매칭비율 6%를 적용하여 매월 준다는 것입니다.

    400,000원 * 6% = 24,000원/월

    24,000원 * 60개월(5년) = 1,440,000원

     

     

    정부 기여금, 비과세 여부

     

    개인소득 정부 기여금 비과세 적용
    총급여 6,000만원 이하
    (종합소득 4,800만원 이하)
    있음 있음
    총급여 6,000만원 초과 ~ 7,500만원 이하
    (종합소득 4,800만원 초과 6,300만원 이하)
    없음 있음

    유의해서 살펴볼 구간이 있는데 총급여가 6,000만 원 초과 7,500만 원 이하, 종합소득의 경우 4,800만 원 초과 6,300만 원 이하이면 정부 기여금은 받을 수 없으며 이자소득에 대한 비과세 혜택만 받을 수 있습니다.

     

    개인소득별 정부기여금 지급구조

     

    개인소득
    정부 기여금 지급 한도 정부 기여금 매칭비율 월 기여금
    총급여 2,400만 원 이하
    (종합소득 1,600만원 이하)
    40만 원 6.00% 24,000원
    총급여 3,600만 원 이하
    (종합소득 2,600만원 이하)
    50만 원 4.60% 23,000원
    총급여 4,800만 원 이하
    (종합소득 3,600만원 이하)
    60만 원 3.70% 22,000원
    총급여 6,000만 원 이하
    (종합소득 4,800만원 이하)
    70만 원 3.00% 21,000원
    총급여 7,500만 원 이하
    (종합소득 6,300만원 이하)
    해당없음 해당없음 해당없음

    개인소득 구간에 따른 정부 기여금 지급한도액과 매칭비율입니다. 오른쪽 월 기여금에서 60개월 곱하면 정부 총 기여금이 나옵니다

    예를 들면 총급여가 3,500만 원인 경우 월 기여금은 23,000원이며 60개월을 곱하면 1,380,000원이 총 정부 기여금입니다.

    이 정도의 근로소득을 받는 구간에 있다면 정부 기여금을 받지 않더라도 월 70만 원 납입하고 기본적인 은행이자(640만 원)와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으니 시중 은행권 적금과 비교해 보고 가입하는 것도 좋은 방법일 것 같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은행별 금리

     

    청년도약계좌

    다시 은행이자 부분입니다. 청년도약계좌 금리는 5년 만기 기준으로 3년은 고정금리 이후 2년은 변동금리가 적용되며, 취급은행마다 차이가 있지만 기본금리와 우대금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아래 표에서 기본금리 주 1)과 소득 우대금리 주 2) 그리고 은행별 우대금리 주 4)을 합산하면 최대 6%가 나옵니다.   

     

    취급은행
    기본금리 주1)
    (3년 고정)
    소득+ 우대금리 주2)
    적금담보대출
    가산금리 주3)
    은행별 우대금리 주4)
    만기일시상환대출 한도대출 대출가능한도
    NH농협은행 4.50% 0.50% 0.90% 0.90% 90%
    우대금리 최대 1.00%p
    (① 급여이체 0.50%p, ② 마케팅동의 0.20%p, ③ 카드실적 0.20%p, ④ 가입직전 1년간 농협은행 예적금(청약포함) 미보유 또는 NH청년희망적금 만기해지 고객 0.10%p)
    신한은행 4.50% 0.50% 1.00% 1.00% 100%
    우대금리 최대 1.00%p
    (① 급여이체 0.30%p, ② 신한카드(신용/체크) 결제 0.30%p, ③ 첫 거래 우대 0.40%p)
    우리은행 4.50% 0.50% 1.00% 1.00% 95%
    우대금리 최대 1.00%p
    (① 급여이체 : 1.00%p, ② 예적금 미보유 : 0.50%p, ③ 카드결제(신용/체크) : 0.50%p)
    * 만기해지 시점까지 적금 자동이체 및 마케팅 동의 유지 필수
    하나은행 4.50% 0.50% 1.00% 1.00% 100%
    우대금리 최대 1.00%p
    (① 급여 (가맹점대금) 이체 [36회차 이상] : 0.60%, ② 마케팅동의 : 0.10%, ③ 카드 결제실적 [월10만원이상, 36회차 이상] : 0.20%, ④ 목돈마련응원 : 0.10%)
    IBK기업은행 4.50% 0.50% 0.60% 0.60% 100%
    우대금리 최대 1.00%p
    (① 급여이체 0.50%p, ② 마케팅동의 0.10%p, ③ 지로/공과금 0.20%p, ④ 카드이용 0.20%p, ⑤ 최초고객 0.30%p)
    KB국민은행 4.50% 0.50% 1.25% 1.75% 95%
    우대금리 최대 1.00%p
    (① 급여이체 0.60%p, ② 자동이체 0.30%p, ③ 거래감사 0.10%p)
    DGB대구은행 4.00% 0.50% 1.00% - 95%
    우대금리 최대 1.50%p
    (① 마케팅동의 0.30%p, ② 주택청약 보유 0.50%p, ③ 대구은행 계좌를 통해 자동이체로 30회 이상 입금 0.70%p)
    BNK부산은행 주5) 4.00% 0.50% 1.00% 1.50% 95%
    우대금리 최대 연1.50%p
    (① 급여이체 : 0.50%p, ② 카드실적 : 0.50%p, ③ 신규고객 : 0.50%p)
    광주은행 3.80% 0.50% 1.20% 1.20% 95%
    우대금리 최대 1.70%p
    (① 급여이체 0.50%p, ② 카드사용 우대금리 0.50%p, ③ 첫 거래 우대금리 0.50%p, ④ 만기축하 우대금리 0.20%p)
    전북은행 3.80% 0.50% 1.20% 1.70% 90%
    우대금리 최대 1.70%p
    (① 급여이체 0.70%p, ② 마케팅 동의 0.20%p, ③ 적금 자동이체 0.30%p, ④ 카드실적 0.50%p)
    BNK경남은행 주5) 4.00% 0.50% 1.20% 1.50% 100%
    우대금리 최대 1.50%p
    (① 급여이체 0.70%p, ② 주택청약 보유 0.40%p, ③ 최초신규고객 0.40%p)

    주 1) 기본금리는 3년간 고정되며(이후 변동금리 적용), 가입 시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주 2) 신청 시점 및 가입 후 1년을 주기로 심사한 개인소득금액의 소득요건* 충족 횟수에 따라 우대금리 적용합니다.
    * 총 급여 2,400만 원 이하, 종합소득과세표준에 합산되는 종합소득 1,600만 원 이하, 연말정산한 사업소득 1,600만 원 이하인 경우

    소득요건 충족횟수 5회 4회 3회 2회 1회 0회
    소득+우대금리 소득+우대금리
    전체 지급%
    소득+우대금리
    X 80% 지급
    소득+우대금리
    X 60% 지급
    소득+우대금리
    X 40%지급
    소득+우대금리
    X 20%지급
    미지급

    주 3) 비대면대출 기준. 본 적금을 담보로 대출 이용 시 가산되는 금리로, 대출금리는 기본금리+ 대출시점에 확정된 우대금리 + 적금담보대출 가산금리로 결정. 대출가능한도는 예금잔액 기준임. 대출기간은 적금만기일 이내이며, 중도상환 수수료는 없습니다.


    주 4) 우대금리 항목은 은행마다 상이하며, 적용 가능 여부는 은행별 홈페이지, 어플 등을 통해 추후 확인 가능합니다.


    주 5) 한도대출의 경우 대면 취급만 가능합니다.

     

    은행별  우대금리 세부항목 비교표

     

    은행별 우대금리 세부내용

     

    아래 전국은행연합회의 청년도약계좌에 대한 은행별 금리 비교 페이지를 아래에 링크로 남겨 놓겠습니다.   

     

    전국은행연합회 소비자포털

    금융상품정보, 금리/수수료 비교공시, 금융서비스정보, 소비자정보, 금융교육, 보이스피싱정보

    portal.kfb.or.kr

     

    청년도약계좌 신청절차

     

     

     

    Q&A

     

    질문 1 : 가입 이후 금리가 변동되는 것인지? 5년 동안 고정금리가 적용되는 것인지요?

    답변 : 3년은 고정금리 2년은 변동금리입니다. 3년 초과 후에도 고정금리를 적용할 수 있도록 협의 중입니다. 변동금리는 해당시점 기준금리에 고정금리 기간 중 적용되었던 가산금리를 더해 산출되게 됩니다.

     

    질문 2 : 가입할 때 소득을 기준으로 계속 지원을 받는 것인지 아니면 주기적으로 소득 재심사를 하는 것인지요?

    답변 : 만기가 5년인 중장기 상품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가입일로부터 1년을 주기로 개인소득 현행화*를 통해 유지심사를 시행하며 해당 심사결과에 따라 정부기여금 지급여부·규모가 조정됩니다.
    * 가구원 변동 등(이혼·독립·사망 등) 가입자의 개인소득과 무관한 사유로 기여금 지급이 중단될 수 있으므로 가구소득은 유지심사에서 제외됩니다.

     

    질문 3 : 1년을 주기로 개인소득 현행화를 해서 정부기여금 지급여부가 조정된다고 했는데, 만약 개인소득이 6,000만 원 초과일 경우 정부기여금을 받을 수 있나요? 

    답변 : 유지심사 결과 개인소득 6,000만 원(총 급여 기준) 초과 시 다음 유지 심사 시*까지 정부기여금 지급이 중단됩니다.

     

    질문 4 : 5년 만기를 채우지 못하고 중도해지 하게 되는 경우는 어떻게 처리되는가요?

    답변 : 해지사유가 특별중도해지 조건*에 해당된다면, 본인 납입금 외 정부 기여금이 지급되며, 비과세혜택도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 「조세특례제한법」에 규정된 ➊가입자의 사망·해외이주 ➋가입자의 퇴직 ➌ 사업장의 폐업 ➍천재지변 ➎장기치료가 필요한 질병 ➏생애최초 주택구입

    하지만 일반적인 중도해지의 경우 본인이 납입한 부분만 지급되고, 정부 기여금과 비과세혜택도 지원받을 수 없으니 가입 시 신중하게 검토 후 가입하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질문 5 : 가입 이후 연령요건을 충족하지 못하게 되면 어떻게 되나?

    답변 : 가입 당시 연령요건에 해당되면 중도해지 하지 않는 한 계좌 유지가 가능합니다.

     

    청년도약계좌 결론

     

    이자소득에 대한 비과세 혜택과 정부의 기여금(지원금) 조건이 매우 좋습니다. 하지만 오늘 포스팅한 사례처럼 매월 70만 원씩 납입하는 사람은 거의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총 급여 2,400만 원 이하의 경우 70만 원을 매달 납입할 여력이 될지 매우 의문스럽습니다. 따라서 경제적으로 여유로우면 문제가 없겠지만 지출할 돈이 많은 경우 월 10만 원씩 해당 계좌로 자동이체 해두어 납입 목표를 두고 진행해 보시기 바랍니다.

    월 10만 원 납입할 경우 정부 기여금은 10만 원의 6% 인 6천 원이 월 기여금이 됩니다.   

    지금까지 서민금융진흥원(서금원)에서 지원하는 청년도약계좌 비과세 적금 형태의 자산형성 상품 신청과 조건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여유 자금이 있다면 다른 적금과 함께 비과세 혜택과 정부 지원금(기여금)이 있는 청년도약계좌를 신청하여 미래를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loading